매년 6월 6일은 보훈기념일인 현충일 입니다.
현충일은 왜 6월 6일일까요?
우리나라의 24절기 중 9번째 절기인 <망종>이 있습니다.
망종은 벼나 보리 같은 수염 있는 곡식의 씨앗을 뿌리기에 좋은 날입니다. 예로부터 이날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고려 현종 때도 망종에는 전쟁에서 사망한 장병들의 유해를 집으로 보내 제사를 지내게 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게다가 6월은 6.25전쟁이 있었던 달이기도 하기 때문에 현충일이 6월 6일로 지정되었습니다.
절기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클릭)
현충일을 기념하는 방법 2가지
현충일은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국군장병과 순국선열의 넋을 위로하고 충절을 추모하는 날입니다.
1. 현충일, 조의를 표하는 의미에서 조기를 게양합니다. 조기는 태극기의 뒷면 너비만큼 내려서 달아야 합니다. 태극기는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게양합니다.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청사 등에는 국기를 연중 24시간 게양합니다.
2. 매년 현충일에는 오전 10시가 되면 사이렌 소리가 울립니다. 우리는 이때 우리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선열들을 위해 전 국민이 함께 1분간 묵념을 하는 시간을 갖는다.
국경일 따라 다른 태극기 게양(클릭)
묵념이란 눈을 감고 말없이 마음 속으로 염원하거나 기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순국선열이란 목숨 바칠 순, 나라 국, 먼저 선, 세찰 렬 /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쳐 먼저 죽은 열사를 의미합니다.
국립현충원에 가면 우리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수많은 순국선열 및 호국영령이 잠들어 계십니다. 꽃다발을 준비해 가서 그분들의 넋을 기리고 올 수 있습니다.
호국영령이란 나라를 보호하고 지키다 돌아가신 분을 의미하는 말로 영령이란 죽은 사람의 영혼을 높여부르는 말입니다.
국립현충원이란?(클릭)
'넋은 별이 되고' 현충일 추모시
2017년 6월 6일 현충일 추념식에서 배우 이보영은 '넋은 별이 되고' 추모시를 낭독하였습니다.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공헌하신 모든 분들이 누군가의 아들, 딸이고 누군가의 남편, 아내이고, 누군가의 아버지, 어머니였다는 것을 우리는 기억하고 잊지않고 감사하며 대한민국이 더 발전할 수 있도록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영상링크)https://www.youtube.com/watch?v=I9UKIYdGv18
넋은 별이 되고
유연숙
모른 척 돌아서 가면 가시밭길 걷지 않아도 되었으련만 당신은 어찌하여 푸른 목숨 잘라내는 그 길을 택하셨습니까
시린 새벽 공기 가르며 무사 귀환을 빌었던 주름 깊은 어머니의 아들이었는데 바람 소리에도 행여 님일까 문지방 황급히 넘던 눈물 많은 아내의 남편이었는데
기억하지 못할 얼굴 어린 자식 가슴에 새기고 홀연히 떠나버린 희미해진 딸의 아버지였는데
무슨 일로 당신은 소식이 없으십니까
작은 몸짓에도 흔들리는 조국의 운명 앞에 꺼져가는 마지막 불씨를 지피려 뜨거운 피 쏟으며 지켜낸 이 땅엔
당신의 아들딸들이 주인이 되어 살고 있습니다.
그 무엇으로 바꿀 수 있었으리오.
주저 없이 조국에 태워버린 당신의 영혼들이 거름이 되어 지금 화려한 꽃으로 피어났습니다.
힘차게 펄럭이는 태극기 바도처럼 높았던 함성
가만히 눈 감아도 보이고 귀 막아도 천둥처럼 들려옵니다.
한 줌의 흙으로 돌아간 수많은 푸르른 넋 잠들지 못한 당신의 정신은 남아 후손들의 가슴 속에 숨을 쉬고 차가운 혈관을 두드려 깨웁니다.
이제 보이십니까
피맺힌 절규로 지켜진 조국은 비바람에도 쓰러지지 않고 고난에도 흔들리지 않는 초석이 되었습니다.
스스로 몸을 태워 어둠을 사르르 촛불같이 목숨 녹여 이룩한 이 나라 당신의 넋은 언제나 망망대해에서 뱃길을 열어주는 등대로 우뚝 서 계십니다.
세월이 흘러가면 잊혀지는 일 많다 하지만 당신이 걸어가신 그 길으 우리들 가슴 속에 별이 되어 영원히 빛날 것입니다.
우리나라 5대 국경일(클릭)
국가보훈처란?(클릭)
국가보훈처에서 2018년에 전국 15살 이상 남녀 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가유공자를 얼마나 알고 있을까?> 설문조사를 보면 설문대상자 중 59.8%만이 국가유공자에 대해 알고 있다고 대답하였습니다. 26.6%는 들은 적 있다. 전혀 모른다고 답한 사람도 13.6%나 되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위인들 이외에도 우리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수많은 영웅들이 있습니다. 1950년 6·25전쟁 때 전사한 군인들의 수만 해도 15만 명이 넘습니다. 아직도 유해를 찾지 못한 이름 없는 용사들도 많습니다. 현재 우리가 누리는 평화와 자유과 희생된 수많은 사람 덕분입니다.
우리나라의 영웅들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클릭)
잊지 않겠습니다.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공헌하신 국가유공자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잊지 않겠습니다.
'우리나라기념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1987의 줄거리 (0) | 2020.05.06 |
---|---|
6월 민주항쟁과 박종철 고문 사건의 전말 (0) | 2020.05.06 |
6월 민주항쟁과 고 이한열 열사 기념관 (0) | 2020.05.06 |
테리우스 안정환과 압도적인 박지성, 거장 히딩크 그리고 한·일 월드컵 (0) | 2020.05.04 |
전 세계 학자들의 꿈, 노벨상의 상금은 얼마일까? (0) | 2020.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