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으로부터 33년 전 6월은, 1987년 6월 민주항쟁이 있었던 찬란했던 여름이었습니다. 6월을 맞아 고 이한열 열사를 기념하는 <이한열 기념관>에 다녀오는 건 어떨까요?
이한열 기념관
전화 02-325-7216
주소 서울 마포구 신촌로 12나길 26 이한열기념관 / 지번 노고산동 54-70 이한열 기념관
시간 평일 오전 10시~오후 5시 / 주말 휴무
요금 입장료 무료
반독재시위에 참가했다가 최루탄을 맞고 쓰러진 고 이한열 열사. 이 사진 한 장은 독재에 대한 국민적 분노를 이끌어 6월 항쟁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이한열은 1987년 6월 9일 시위에 참여했다가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고 쓰러졌습니다. 이한열은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86학번으로 27일간 세브란스 중환자실에서 사경을 헤매다 7월 5일 사망하였습니다.
<이한열 기념관>에서는 이한열 열사의 민주항쟁 정신을 잇고 당시 기록을 전시합니다. 시위 현장에서 이 열사가 입었던 옷과 신발 등이 유품 보존 전문 시설에 영구보관되고 민주화운동 의지가 담긴 열사의 일기와 편지도 전시돼 있습니다. 이 기념관은 이한열 열사의 유품이 심각하게 훼손되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성금을 모아 설립되었습니다. 모교에서는 이한열 열사의 추모제가 매년 열리고 있습니다.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몸소 깨닫고 이를 지키기 위해 싸웠던 선배의 뜻을 기립니다. 이한열 기념사업회는 한 달 동안 이한열 장학생을 선발하고 '열사에서 친구로'라는 전시회도 개최합니다.
<이한열 기념관>이 궁금하다면 아래링크로 들어가주세요
'우리나라기념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1987의 줄거리 (0) | 2020.05.06 |
---|---|
6월 민주항쟁과 박종철 고문 사건의 전말 (0) | 2020.05.06 |
테리우스 안정환과 압도적인 박지성, 거장 히딩크 그리고 한·일 월드컵 (0) | 2020.05.04 |
전 세계 학자들의 꿈, 노벨상의 상금은 얼마일까? (0) | 2020.05.01 |
발명왕 에디슨은 청각장애를 어떻게 극복하였을까 (0) | 2020.05.01 |